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티아고 실바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종합격투기 선수에 대한 내용은 티아고 실바(종합격투기) 문서
티아고 실바(종합격투기)번 문단을
티아고 실바(종합격투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플루미넨시 FC 2024 시즌 스쿼드
1 파비우 · 2 사무에우 샤비에르 · 4 마를롱 · 5 알렉산데르 · 7 안드레 · 8 마르티넬리 · 9 존 케네지 · 10 간수
11 케누 · 12 마르셀루 · 14 G. 카노 · 15 조니 G. · 16 지오구 바르보자 · 17 레오 페르난데스 · 21 J. 아리아스
22 페드루 항제우 · 23 구가 · 26 마노에우 · 29 치아구 산투스 · 30 펠리피 멜루 · 33 니누 (C) · 37 지오바니
44 데이비지 브라스 · 45 리마 · 55 다니에우 · 98 비토르 에우지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플루미넨시 FC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티아고 실바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루시우
(2006~2011)
티아고 실바
(2011~2014)
네이마르 주니오르
(2014~2016)
다니 알베스
(2019)
티아고 실바
(2020~2022)
다니 알베스
(2022)
다니 알베스
(2022)
티아고 실바
(2022~2023)
카세미루
(2023~)

파리 생제르맹 FC 주장
마마두 사코
(2011~2012)
티아고 실바
(2012~2020)
마르퀴뇨스
(2020~)
티아고 실바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티아고 실바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FFD200><width=10%> '''{{{#029C55 순서}}}''' ||<width=30%> '''{{{#029C55 선수 이름}}}''' ||<width=10%> '''{{{#029C55 출전 횟수}}}''' ||<width=25%> '''{{{#029C55 첫 경기}}}''' ||<width=25%> '''{{{#029C55 마지막 경기}}}''' || || 1 || [[카푸]] || '''142회''' || 1990.9.12[br](vs 스페인) || 2006.7.1[br](vs 프랑스) || || 2 || [[호베르투 카를루스]] || '''125회''' || 1992.2.26[br](vs 미국) || 2006.7.1[br](vs 프랑스) || || 3 || [[다니 아우베스]] || '''119회''' || 2006.10.10[br](vs 에콰도르) || 2021.9.9[br](vs 페루) || || 4 || [[네이마르 주니오르]] || '''116회''' || 2010.8.10[br](vs 미국) || 2021.11.11[br](vs 콜롬비아) || || 5 || [[루시우(축구선수)|루시우]] || '''105회''' || 2000.11.15[br](vs 콜롬비아) || 2011.9.5[br](vs 가나) || || 6 || [[치아구 시우바]] || '''102회''' || 2008.10.12[br](vs 베네수엘라) || 2021.11.11[br](vs 콜롬비아) || || 7 || [[클라우지우 타파레우]] || '''101회''' || 1988.7.7[br](vs 호주) || 1998.7.12[br](vs 프랑스) || || 8 || [[호비뉴]] || '''100회''' || 2003.7.13[br](vs 멕시코) || 2017.1.25[br](vs 콜롬비아) ||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181818,#ddd><rowbgcolor=#00008b><width=10%> '''{{{#fff 순서[* 순서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출장 횟수가 많은 순서로 나열하고 출장 횟수가 같을 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먼저 데뷔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둡니다.]}}}''' ||<-2><width=45%> '''{{{#fff 선수 이름 / 참가 클럽[* 현재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선수 및 클럽을 의미합니다. 참가 클럽의 경우 해당 선수의 커리어가 아닌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참여한 팀만을 기재합니다.]}}}''' ||<width=15%> '''{{{#fff 출전 횟수[* 본선 조별리그가 진행되기 이전의 예선 경기 기록은 제외한 수치.]}}}''' ||<width=15%> '''{{{#fff 국적}}}''' ||<width=15%> '''{{{#fff 우승 횟수}}}''' || || 1 ||<colbgcolor=#ffffdd,#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on_play.png|width=17px]][br](Cristiano Ronaldo)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br][[레알 마드리드 CF]][br][[유벤투스 FC]] ||<colbgcolor=#eeeeef,#191919> '''183회'''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2 || [[이케르 카시야스]] [br](Iker Casillas) || [[레알 마드리드 CF]][br][[FC 포르투]] || '''177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3 || [[리오넬 메시]] [[파일:on_play.png|width=17px]][br](Lionel Messi) || [[FC 바르셀로나]][br][[파리 생제르맹 FC]] || '''163회'''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4 || [[카림 벤제마]] [[파일:on_play.png|width=17px]][br](Karim Benzema) || [[올랭피크 리옹]][br][[레알 마드리드 CF]] || '''152회'''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5 || [[사비 에르난데스]][br](Xavi Hernández) || [[FC 바르셀로나]] || '''151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6 || [[토마스 뮐러]]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Thomas Müller) ||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47회'''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7 || [[토니 크로스]]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Toni Kroos) || [[FC 바이에른 뮌헨]][br][[레알 마드리드 CF]]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44회'''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8 || [[라울 곤살레스]][br](Raúl González) || [[FC 샬케 04]][br][[레알 마드리드 CF]] || '''142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8 || [[세르히오 라모스]]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Sergio Ramos) || [[레알 마드리드 CF]][br][[파리 생제르맹 FC]][br][[세비야 FC]]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42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10 || [[라이언 긱스]][br](Ryan Giggs)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41회''' || [[웨일스|[[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11 || [[마누엘 노이어]]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Manuel Neuer) || [[FC 샬케 04]][br][[FC 바이에른 뮌헨]]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34회'''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12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파일:on_play.png|width=17px]][br](Andrés Iniesta) || [[FC 바르셀로나]] || '''130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13 || [[세르히오 부스케츠]] [[파일:on_play.png|width=17px]][br](Sergio Busquets) || [[FC 바르셀로나]] || '''129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14 || [[제라르 피케]] [br](Gerard Piqué)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br][[FC 바르셀로나]] || '''128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15 || [[클라렌스 세이도르프]][br](Clarence Seedorf) || [[AFC 아약스]][br][[레알 마드리드 CF]][br][[AC 밀란]] || '''125회'''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4회''' || || 16 || [[폴 스콜스]][br](Paul Scholes)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24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16 || [[잔루이지 부폰]][br](Gianluigi Buffon) || [[파르마 칼초 1913]][br][[유벤투스 FC]][br][[파리 생제르맹 FC]] || '''124회'''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ccac00 }}}''' '''0회''' || || 16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br](Zlatan Ibrahimović) || [[AFC 아약스]][br][[유벤투스 FC]][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br][[FC 바르셀로나]][br][[AC 밀란]][br][[파리 생제르맹 FC]][br][[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24회''' ||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ccac00 }}}''' '''0회''' || || 19 || [[루카 모드리치]][[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Luka Modrić) || [[토트넘 홋스퍼 FC]][br][[레알 마드리드 CF]][[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22회''' || [[크로아티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20 || [[호베르투 카를루스]][br](Roberto Carlos) || [[레알 마드리드 CF]][br][[페네르바흐체 SK]] || '''120회'''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21 || [[샤비 알론소]][br](Xabi Alonso) || [[레알 소시에다드]][br][[리버풀 FC]][br][[레알 마드리드 CF]][br][[FC 바이에른 뮌헨]] || '''119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22 || [[페페(축구선수)|페페]]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PePe) || [[FC 포르투]]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레알 마드리드 CF]][br][[베식타스 JK]] || '''118회'''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40]]]] || '''{{{#ccac00 ★★★ }}}'''[br]'''3회''' || || 23 || [[데이비드 알라바]]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David Alaba) || [[FC 바이에른 뮌헨]][br][[레알 마드리드 CF]]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17회''' ||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24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Robert Lewandowski)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br][[FC 바이에른 뮌헨]][br][[FC 바르셀로나]]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16회'''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25 || [[카를레스 푸욜]][br](Carles Puyol) || [[FC 바르셀로나]] || '''115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26 || [[티에리 앙리]][br](Thierry Henry) || [[AS 모나코 FC]][br][[아스날 FC]][br][[FC 바르셀로나]] || '''112회'''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26 || [[필립 람]][br](Philipp Lahm) || [[FC 바이에른 뮌헨]][br][[VfB 슈투트가르트]] || '''112회'''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28 || [[페트르 체흐]][br](Petr Čech) || [[AC 스파르타 프라하]][br][[첼시 FC]][br][[아스날 FC]] || '''111회''' || [[체코|[[파일:체코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28 || [[다니 알베스]] [[파일:on_play.png|width=17px]][br](Dani Alves) || [[세비야 FC]][br][[FC 바르셀로나]][br][[유벤투스 FC]][br][[파리 생제르맹 FC]] || '''111회'''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30 || [[아르연 로번]][br](Arjen Robben) || [[PSV 에인트호번]][br][[첼시 FC]][br][[레알 마드리드 CF]][br][[FC 바이에른 뮌헨]] || '''110회'''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1 || [[파올로 말디니]][br](Paolo Maldini) || [[AC 밀란]] || '''109회'''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31 || [[게리 네빌]][br](Gary Neville)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09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31 || [[존 테리]][br](John Terry) || [[첼시 FC]] || '''109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4 || [[안드레아 피를로]][br](Andrea Pirlo)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br][[AC 밀란]][br][[유벤투스 FC]] || '''108회'''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ccac00 ★★}}}'''[br]'''2회''' || || 34 || [[애슐리 콜]][br](Ashley Cole) || [[아스날 FC]][br][[첼시 FC]][br][[AS 로마]] || '''108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4 || [[파트리스 에브라]][br](Patrice Evra) || [[AS 모나코 FC]][br][[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br][[유벤투스 FC]] || '''108회'''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7 || [[데이비드 베컴]][br](David Beckham)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br][[레알 마드리드 CF]][br][[AC 밀란]][br][[파리 생제르맹 FC]] || '''107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7 || [[앙헬 디 마리아]]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Ángel Di María) || [[SL 벤피카]]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br][[레알 마드리드 CF]][br][[파리 생제르맹 FC]][br][[유벤투스 FC]] || '''107회'''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39 || [[빅토르 발데스]][br](Víctor Valdés) || [[FC 바르셀로나]] || '''106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br]'''3회''' || || 40 || [[프랭크 램파드]][br](Frank Lampard) || [[첼시 FC]][br][[맨체스터 시티 FC]] || '''105회'''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40 || [[티아고 실바]]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br](Thiago Silva) || [[AC 밀란]][br][[파리 생제르맹 FC]][br][[첼시 FC]] [[파일:Champs_on_play.png|width=17px]] || '''105회'''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42 || [[세스크 파브레가스]][br](Cesc Fàbregas) || [[아스날 FC]][br][[FC 바르셀로나]][br][[첼시 FC]] || '''104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ccac00 }}}''' '''0회''' || || 43 || [[올리버 칸]][br](Oliver Kahn) || [[FC 바이에른 뮌헨]] || '''103회'''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43 || [[루이스 피구]][br](Luís Figo) || [[FC 바르셀로나]][br][[레알 마드리드 CF]][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03회'''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 43 || [[페르난지뉴]] [[파일:on_play.png|width=17px]][br](Fernandinho) || [[샤흐타르 도네츠크]][br][[맨체스터 시티 FC]] || '''103회'''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40]]]] || '''{{{#ccac00 }}}'''[br]'''0회''' || || 46 || [[마르셀루]] [[파일:on_play.png|width=17px]][br](Marcelo) || [[레알 마드리드 CF]] || '''102회'''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40]]]] || '''{{{#ccac00 ★★★★★}}}'''[br]'''5회''' || || 47 || [[안드리 셰브첸코]][br](Andriy Shevchenko) || [[FC 디나모 키이우]][br][[AC 밀란]][br][[첼시 FC]] || '''100회''' || [[우크라이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40]]]] || '''{{{#ccac00 ★}}}'''[br]'''1회''' || ||<-6><(> [각주] || ||<-6><(> {{{-2 ※ 현재 기록은 [[UEFA 챔피언스 리그/2023-24 시즌]] 조별리그 6차전 종료 후 기준이고 매 경기가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



파일:AC 밀란 로고.svg[br]AC MILAN HALL OF FAME
[ 펼치기 · 접기 ]

GOLEADOR
9보피(알도7파투(알레샨드리7세브첸코(안드리9인자기(필리포
10리베라(잔니11산타고스티노(주세페11그렌(군나르9노르달(군나르
9조던(9알타피니(조제10스키아피노(후안 알베르토99호나우두(루이스 나자리우 지리마
11시모네(마르코9반 바스텐(마르코9헤이틀리(마크9콤빈(네스토
9비어호프(올리버7프라티(피에리노11비르디스(피에트로8윌킨스(레이
22카카(히카르두10바조(로베르토80호나우지뉴(호나우두 지아시스 모레이라11이브라히모비치(즐라탄
BALLON D'OR
7세브첸코(안드리9웨아(조지10리베라(잔니9반 바스텐(마르코
22카카(히카르두10굴리트(루드
CAPTAINS
4비곤(알베르토5(알도9세베니니(알도3말데라(알도
7스카리오니(알레산드로4보노미(안드레아7소르마니(안젤로5트레레(아틸리오
4안노비치(카를로8로바티(체사레6말디니(체사레8사니(디노
8모란디(에르네스토3솔데라(프란체스코3차가티(프란체스코6바레시(프랑코
8레이카르트(프랑크10리베라(잔니11모레티(조반니6안토니니(주세페
9노르달(군나르9푸리첼리(에토레5킬핀(허버트1부폰(로렌초
9반 헤게(루이스11키아루지(루차노5페르베르시(루이지5로사토(로베르토
2살라(마르코23암브로시니(마시모2타소티(마우로10리드홀름(닐스
8토뇬(오메로3말디니(파올로9부리니(렌초9안토넬리(로베르토
4베네티(로메오6부리아니(루벤9아르카리(피에트로1로시(세바스티아노
27세르지뉴(세르지우 클라우지우 두스 산투스5바티스티니(세르지오33실바(티아고11노벨리노(발테르



플루미넨시 FC No. 3
티아고 실바
Thiago Silva
본명치아구 이밀리아누 다시우바
Thiago Emiliano da Silva
출생1984년 9월 22일 (39세)
리우데자네이루주 리우데자네이루
국적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
신체 181cm / 체중 79kg
포지션센터백
주발오른발
소속유스플루미넨시 FC (1998~2000)
바르셀로나-RJ[2] (2000~2001)
플루미넨시 FC (2001~2002)
선수RS 푸치보우 (2002~2003)
EC 주벤투지 (2003~2004)
FC 포르투 B (2004~2006)
디나모 모스크바 (2005~2006 / 임대)
플루미넨시 FC (2006~2008)
AC 밀란 (2008~2012)
파리 생제르맹 FC (2012~2020)
첼시 FC (2020~2024)
플루미넨시 FC (2024~ )
국가대표113경기 7골[3] (브라질 / 2008~ )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브라질 대표팀 - 2번, 3번, 4번, 14번, 15번
플루미넨시 FC - 2번, 3번
AC 밀란 - 33번
파리 생제르맹 FC - 2번
첼시 FC - 6번
후원사푸마[1]
[1] 2021-22 시즌 도중에 나이키에서 푸마로 스폰서를 변경했다.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티아고 실바에 대한 헌사
6. 여담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브라질 국적의 플루미넨시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선수 경력[편집]



2.1. 클럽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아고 실바/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아고 실바/국가대표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신장은 센터백 치고 단신이지만,[4] 위치 선정 능력과 점프력, 타고난 순발력을 바탕으로 이를 상회하며, 박스 안 헤더를 내주지 않는다. 헤더 경합은 물론이고 세트피스 상황에서 프리 헤더를 통해 득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5]

단신의 피지컬을 보유해서 그런지, 오히려 센터백들 중에서도 뛰어난 민첩성[6]을 자랑한다.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뒷공간 커버 능력을 보여주는데, 수비 상황에서의 판단이 빠르고 뛰어나며 상당히 침착해 어느 순간에 압박하거나 후방에서 대기해야 할지, 어느 순간에 라인을 올리거나 내릴지에 대한 판단이 노련하다. 때문에 뒷공간을 쉽게 노출하지 않고 수비진의 리더로써 라인을 조율하는 능력은 세계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다.[7] 언제나 적절한 위치를 잡기 때문에 상대를 허둥지둥 쫓아가느라 낭비하는 체력이 줄어들며, 상대를 순간 스퍼트로 따라잡을 수 있는 사정권 안에 두기 때문에 절대적인 최속 자체는 최장신 선수들에 비해 느리더라도 그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 능력이 워낙 출중해서인지 나이가 든 뒤에 전성기 대비 주력이 다소 떨어졌음에도 빈틈 없는 수비를 과시하고 있다.[8][9]

수비 시에 깔끔한 스탠딩&슬라이딩 태클을 구사하기 때문에 카드 트러블이 적다. 위치를 선정하고 상대의 공격을 예측하는 능력이 좋아서 발을 살짝 뻗어 공을 인터셉트해내는 능력까지 훌륭하다. 이를 바탕으로 1대1 상황에서 대부분은 실바가 우위를 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비능력뿐만 아니라 공격 가담 및 전개 능력도 출중한데, 앞서 말한 세트피스 상황에서의 헤더뿐만 아니라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도 실바의 역할이 크다. 볼 컨트롤, 로빙패스와 스루패스, 방향 전환을 통한 정확한 롱볼 전개 등 볼 플레잉 센터백으로써 필요한 역량도 최정상급이다.

경력 초기에 여러 곳에서 뛰었던 적이 있는만큼 수비형 미드필더, 풀백, 심지어는 중앙 미드필더로도 출전할 수 있는 유틸리티성을 갖추고 있으며 브라질 선수답게 기본기가 탄탄하다. 물론 파리에서는 킴펨베마르퀴뇨스가 각성했던 2019-20 시즌 이전까지는 실바를 제외하면 수비에서의 믿을 맨이 없었기 때문에 계속해서 센터백으로 뛰었다. 저러한 멀티 포지션 능력은 이제 옛말로 치부해도 될 정도로 센터백을 훨씬 많이 뛰었다.[10]

허나 티아고 실바 제일의 무기는 바로 40대가 코앞임에도 불구하고 기량이 꺾이지 않고 기복없는 경기력과 튼튼한 신체를 유지하는 엄청난 자기 관리에 있다. 잔부상이 조금 있었다는 것이 약점이라면 약점이지만, 장기 부상은 없었고 부상이나 감독교체로 인한 폼 저하 없이 밀란 시절부터 30대 후반 첼시 시절까지 10년 이상 클래스를 유지했으며 대륙대회에서나 리그에서나 경기력 차이 없이 일정했다.[11] 오히려 22-23 시즌에는 티아고 실바의 체력 안배와 수비진 이탈로 인한 보강으로 여름 이적시장에서 영입했던 첼시의 센터백 자원들이[12] 도리어 잔부상으로 이탈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벌어졌고, 티아고 실바는 현재까지 큰 부상 없이 거의 매 경기를 풀타임으로 나서고 있다. 그야말로 15살이나 어린 주장이라는 사람과는 완벽한 대척점 그 자체이며, 더욱 보는 사람을 감탄하게 만든다. 후반 막판으로 갈수록 다리에 근육 경련이 생겨 주저 앉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나이 38살에 이런 경기 소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실로 대단할 따름. 진짜 40 넘어서 월드컵 또 가려고 그러나

웬만한 선수들은 은퇴하는 나이에 이적한 첼시에서도 최고 전성기급은 아니지만, 전성기에 준하는 활약을 해주고 있다. 2021-22 시즌 PL 내의 센터백 중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활약을 보이고 있다. 센터백이 갖춰야 할 모든 면에서 좋은 모습들을 보여주며, 특히 1대1 수비 상황에서 거의 뚫리지 않는 그저 수비 도사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나이에 더 쌓인 판단력과 좋은 발밑으로 빌드업에서도 많은 도움을 주며 38살이라는 나이에 첼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다. 그와 나이가 비슷한, 월드클래스 센터백 중에서는 페페와 함께 가장 롱런하고 있다. 물론 나이를 빼고 전세계 어떤 센터백과 비교하더라도 꿇리지 않을 정도. 심지어 공격 가담도 꽤 적극적이어서 수비수임에도 잊을만하면 득점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세트피스 상황에서 강하며, 실바가 최근 넣는 골들은 죄다 헤더골일 정도로 고령임에도 엄청난 점프력과 헤딩 스킬로 자주 득점을 기록한다.


4. 기록[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 브라질 U-23 축구 국가대표팀


4.2. 개인 수상[편집]


  • FIFA FIFPro 월드 XI: 2013, 2014, 2015
  • UEFA 올해의 팀: 2011, 2012, 2013
  • FIFA 월드컵 드림팀: 2014, 2018
  • FIFA 월드컵 캐스트롤 인덱스 톱 XI: 2014
  • FIFA 월드컵 판타지팀: 2018
  • 코파 아메리카 토너먼트의 팀: 2019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드림팀: 2013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5-16
  •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의 팀: 2015
  • FIFA 클럽 월드컵 골든볼: 2021
  •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 MOTM: 2021
  • 세리 A 팬 선정 최우수 선수: 2008
  • 세리 A 올해의 팀: 2008
  • 세리에 A 올해의 팀: 2010-11, 2011-12
  • 리그 1 이달의 선수: 2013년 3월, 2019년 10월
  • UNFP 리그 1 올해의 팀: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 남아메리카 올해의 팀: 2008
  • 삼바도르: 2011, 2012, 2013
  • 볼라 지 프라타: 2007
  • IFFHS 10년의 CONMEBOL팀 (2011–2020)
  • IFFHS 올타임 남아메리카 드림팀[13]: 2021
  • 첼시 올해의 선수: 2022-23
  • 첼시 선수단 선정 올해의 선수: 2022-23


5. 티아고 실바에 대한 헌사[편집]


티아고 실바와 세르히오 라모스는 세계 최고의 수비수다. 전세계의 다른 어떤 수비수들보다 저들이 뛰어나다.

단테


그가 수비수임에도 불구하고, 실바의 플레이를 볼 때 마치 내 모습을 보는 것 같다. 내 생각에 실바는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수비수다. 그와 같은 팀에서 뛰게 된 것은 행운이다. 나는 튀랑, 칸나바로, 피케, 푸욜과 같은 최고의 수비수들과 같은 클럽에서 뛰었던 경험이 있다. 그러나 실바는 이들과도 다른 레벨에 도달한 수비수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티아고 실바는 현 세계 최고의 수비수다. 분명히 말할 수 있다. 그가 이탈리아에 처음 도착했을 때가 기억난다. 어느 누구도 처음엔 그가 누군지 몰랐지만, 같이 지내다보니 자연스럽게 이 녀석이 얼마나 대단한 녀석인지 알게 되었다. 그가 밀란에 오자마자 즉시 제 실력을 발휘하진 못했다. 왜냐하면 6개월동안 경기에 뛸 수 없이 훈련만 해야 됐으니까. 그렇지만 그가 뛸 때면 언제나 그의 재능을 증명해보였다. 그는 현대 축구에서 필요로 하는 완벽한 수비수다. 볼을 잘 다루고, 매우 빠르다. 또한 그의 집중력과 침착함 역시 최고다. 한 마디로 완벽해![14]

알레산드로 네스타


세계 최고의 수비수가 누구냐고? 의심의 여지없이 세르히오 라모스 그 다음으로는 티아고 실바. 그는 밀란 시절부터 남다른 재능을 뽐냈다.

파올로 말디니


매우 훌륭한 센터백이다. 키는 크지 않지만 점프력이 좋다.

데얀 로브렌


그 동안 중앙 수비수로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알레산드로 네스타, 파비오 칸나바로, 릴리앙 튀랑, 야프 스탐 등을 봤는데 그래도 실바와 테리를 택하겠다.

카를로 안첼로티[15]


그는 위대한 수비수가 갖춰야할 모든 기술을 가지고 있다. 어디서든 존중받을 사람이다.

호나우두


첼시에서 본 바 조르지뉴와 캉테는 훈련 중에 전혀 공을 빼앗기지 않는다. 이 두 선수와 티아고 실바는 훈련 중에 당황하는 법조차 없다.

마커스 베티넬리


그는 축구계의 벤자민 버튼이다.

토마스 투헬



6. 여담[편집]


  • 친정팀 AC 밀란을 여전히 애정하는걸로 보인다. 여차하면 자신의 축구화의 AC 밀란 로고가 박힌 축구화를 신는 모습도 경기도중에 찍혔을 정도.

  • 플레이 스타일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자기관리가 실로 엄청나다. 탄산음료를 입에 대지도 않을 정도로 철저한 식단 관리에 꾸준한 운동[16]을 하고 있으며 근육과 체력 회복을 위해 매일 2시간 식 산소 테라피를 꾸준히 받고 있다. 첼시로 이적한 이후에는 정관수술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이 덕분인지 실력과 더불어 얼굴도 거의 늙지를 않는다. 39살에 빅클럽 에이스로 활약하는 건 정말 보기 드문 일이다.

  • 김유정과 닮아서 유정이 혹은 유정이 오빠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010년대 초 아역배우 시절부터 있었던 별명인데 팬들 사이에서만 이렇게 불리고 있는 것이 아니라 김유정 본인이 공인한 별명이다! 어느 인터뷰에서는 실바를 우리 오빠라 칭하기도 했다. 심지어 둘 다 생일이 9월 22일이고 데뷔년도가 2003년으로 동일하는 평행이론 급 공통점이 있다. 김유정이 아역배우에서 벗어난 2020년 시점에서는 편의점 샛별이에서 열연 중인 역할인 샛별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안정환, 김성주가 출연하여 축구해설시의 애로사항을 이야기하였는데 그 와중에 이름을 말하기 껄끄러운 축구선수들이 많다며 그 명단을 공개할 때 나왔다. 다만 이 때는 티아구 시우바라고 나왔다.
파일:01koKs9.jpg



  • 티아고 실바 본명을 따서 영국 래퍼 Dave & AJ Tracy 가 부른 노래가 있다. 영국 발음이라 그런지 티아고 실바라고 발음한다.


  • 세르히오 라모스파리 생제르맹 FC에 2년 계약으로 입단하자 "지금 라모스는 작년 내 나이와 같다"라며 전 소속팀에 대해 서운한 감정을 보이기도 했다.# 참고로 라모스는 이때 부상을 안고 있는 상태였고, 실바가 첼시의 주전 수비수로 활약하는 동안 데뷔전도 못치르며 21-22 시즌 3분의 1을 관중석에서 날려먹었다.

  • AC 밀란 시절부터 나이키의 토탈 90, CTR360, 티엠포, 마지스타, 팬텀 베놈 등 머큐리얼을 제외한 다양한 사일로의 축구화들을 착용하다가 21-22 시즌 도중에 푸마의 퓨처 Z 축구화를 착용한다.

  • 축구 선수로서는 황혼의 나이에 첼시 FC로 이적했지만, 수년 동안 첼시 수비진의 핵심으로 활약하며 밀란에서 뛴 경기 수를 넘겨버렸다(...). 만약 실바가 24-25 시즌에도 첼시에서 뛰었다면 40살의 프리미어 리그 센터백[17]을 볼 수 있었으나 플루미넨시 FC로 이적하며 아쉽게 이뤄지지 못했다.


7.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9 00:17:19에 나무위키 티아고 실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년 3월 15일 가족들과 함께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했다. #[2] 우리가 흔히 아는 그 FC 바르셀로나가 아닌, 이 팀의 이름에서 따온 리우데자네이루를 연고로 한 브라질 축구 클럽이다.[3] 2022년 12월 10일 기준[4] AC 밀란, PSG 시절에는 프로필에 183cm로 기재되어 있었고, 첼시로 이적한 후에 181cm로 정정되었다.[5] 특히 코너킥 상황에서 그 부분이 잘 드러난다. 뒤쪽에서 아무 마킹을 받지 않고 있다가 공을 차는 순간 빠른 발과 높은 점프력을 이용해 득점을 자주 만들어낸다.[6] 가/감속 및 방향 전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능력. 직선으로 뛰어보라고 시키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도달하는 최고속도 자체는 키가 더 클수록 높기에 티아고의 최속 자체에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7] 이러한 수비적인 강점은 브라질 대표팀과 PSG에서 다비드 루이스와 센터백 듀오를 이뤘을 때 특히 잘 드러났는데, 루이스는 실바와 있으면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나 실바 같은 커맨더형이 없으면 급격히 날뛰는 양날의 검이 된다. 실바의 전성기 때 브라질 대표팀과 파리는 이 선수의 존재유무가 그 팀의 수비 퍼포먼스와 맞물려서 전체적인 경기력을 결판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8]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전성기 대비이지, 2022-23 시즌 PL 리버풀 원정 경기에서 무려 다르윈 누녜스를 상대로 후반 말미에 1대1 달리기를 따라 잡으며 어마무시한 노익장을 선보였다. 심지어 누녜스는 교체 출장이었고 실바는 선발 출장이었다.[9] 참고로 다르윈 누녜스의 속도는 같은 팀 동료였던 미하일로 무드리크과 비슷하거나 살짝 느린 수준이다.[10] 애초에 헤딩, 빌드업 능력, 수비 조율, 태클, 예측 수비 등등 센터백이 가져야 할 모든 요소를 다 가진 선수를 굳이 수비형 미드필더나 풀백으로 기용하기에는 너무 잃는 요소가 많다. 특히 실바의 수비 조율 능력은 거의 최상급으로 여겨지기에 팀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나 풀백 자리에 공백이 생겨도 다른 선수로 커버하면 했지 실바로 메우지 않았다. 일례로 파리 생제르맹 시절 오른쪽 풀백이나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 구멍이 생기면 두 자리 모두 마르퀴뇨스가 커버를 하고 실바는 항상 센터백으로 나섰다.[11] 커리어 내내 철강왕 소리 듣던 2살 아래 세르히오 라모스가 35세 시즌부터 부상으로 고생하며 확 꺾인데 반해 37세 시즌까지도 클래스를 유지하며 완만하디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다. 오히려 20-21시즌부터는 그 곡선이 하강이 아니라 다시 상승하는 것처럼 보인다.[12] 웨슬리 포파나, 칼리두 쿨리발리[13] B팀[14] 2014 브라질 월드컵 칠레전 이후 발언.[15] 자신이 지도했던 선수들의 베스트 XI을 뽑으면서.[16] 아내인 이사벨의 말에 따르면 훈련장 말고도 집에서도 간단한 운동을 한다고 한다.[17] 당장 23-24 시즌 프리미어 리그에서 노장급으로 평가받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조니 에반스조차 23-24 시즌 기준 36살 밖에(?) 되지 않는다.